물가상승률 1998년 이후 최고 … 원자재 가격불안 변수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물가가 고공행진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물가는 석유류와 공업제품뿐만 아니라 밥상 물가까지 급등하면서 서민 가계 부담이 커졌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물가급등으로 체감경기는 더욱 악화됐다. 여기에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 9월말 이미 1870조원을 돌파, 사상 최대에 달했다. 기준금리의 급격한 인상으로 인해 가계·영끌족들의 이자 부담은 한계치에 달한 상황이다.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경제 전반에 대해 '상저하고'에 무게를 싣고 있다. 가장 어려운 올해 상반기를 지나면서 점차 나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내년 성장률 전망을 1.6%로 제시했지만, 내년 상반기는 평균보다 좋지 않고, 하반기에 좀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상승률 역시 상반기에는 4~5%로 고공행진하다가 하반기에는 3~4% 수준으로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연초부터 전기·가스 요금과 시내버스·지하철 요금 인상 등이 줄줄이 예정돼 있다. 한번 인상된 공공요금은 연중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원자재 가격 불안 요인도 가시지 않았다. 이 때문에 올해 물가가 연중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관측도 만만치 않다.

물가가 떨어지지 않으면 금리 상승 등 긴축국면도 길어져 최대 규모로 불어난 가계부채에도 악영향을 준다. 여기에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소규모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가계가 흔들리고 금융시장 전반의 충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이같은 위험요인을 관리하면서 취약계층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추 부총리가 신년사에서 "새해 우리 경제가 직면한 대내외 경제 여건은 여전히 어렵다"며 "생활물가 안정을 통한 생계비 경감,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사회 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민생안정을 도모하겠다"고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한국은행도 당분간 물가안정에 무게를 싣겠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신년사에서 "물가 안정에 중심을 둔 통화정책 기조를 이어가되, 경기와 금융 상황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경제전망" 연재기사]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