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민체감형 교통정책 주력

정책 차별화 좋지만 확장성에 한계

서울용 정책 넘어 수도권 동행 필요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중교통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 굵직한 정책부터 작지만 꼭 필요했던 변화까지 시민 일상에 도움을 주는 이른바 '정책 차별화'다.
서울시가 최근 승객들이 지하철 역이름을 파악하기 쉽게 개선했다. 좌석에 앉은 승객이 스크린도어를 통해 도착역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서울시 제공


18일 내일신문 취재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교통정책. 그중에서도 대중교통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주택에 치중하던 서울시 정책 초점이 전환한 것은 대중교통 정책이야말로 시민들이 가장 쉽게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시가 추진하는 지하철 역이름을 구별하기 쉽도록 하는 역명 시인성 개선사업도 같은 맥락이다. 열차 내에서 도착역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시민 의견에 착안해 추진됐다. 스크린도어(승강장 안전문)와 열차 중간 또는 출입문 상단에 도착역과 환승역 정보를 알려주는 장치를 게시하는 사업이다. 시는 최근 40년만에 지하철 노선도도 새롭게 바꿨다. 지하철 노선도는 그동안 '위치를 알기 어려운 형태' '일반역과 잘 구분되지 않는 환승역 표기' 등 승객을 위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오세훈표 대중교통 정책의 대표상품은 '기후동행카드' 도입이다. 한달에 6만5000원만 내면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따릉이까지 제한없이 탈 수 있는 이른바 '무제한 패스'다. 가파른 공공요금 인상으로 쪼그라든 시민들 주머니 사정을 헤아리고 대중교통 활성화로 기후위기 대응까지 잡겠다는 혁신 정책이란 평가가 나온다.

◆"서울로 출퇴근하면 모두 서울시민" = 하지만 오 시장이 내놓은 무제한 패스가 서울 내 이동에만 해당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차별화에는 성공했지만 확장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간이 더 걸려도 협의를 통해 수도권 전체 주민에게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설계했으면 보다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를 받았을 것이란 얘기다. 오 시장은 서울에만 먼저 무제한 패스를 도입한 것에 대해 "수도권이 한꺼번에 시행하려면 너무 시간이 걸려 서울이 먼저 치고 나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김포시와 화성시에서 출발하는 동행버스를 만들었을 때 받았던 폭넓은 공감을 이어가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행버스는 대한민국 공공정책 틀을 바꾼 파격적 시도로 주목받았다. 서울시민이 아닌 경기도에서 출퇴근하는 이들을 위해 서울시 예산으로 버스 노선을 신설했다. 해당 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서울시민들 사이에서도 "고단한 시민의 일상을 보듬는 따뜻한 행정"이란 평가가 나왔다.

오 시장은 최근 주요 정치인 호감도를 묻는 여론조사(한국갤럽.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35%를 차지, 1위에 올랐다. 오 시장 주변 인사들 사이에선 "정치 여론조사에서 오 시장이 1위를 차지한 건 16년만의 일"이라며 자축하는 소리가 나왔다.

서울시의회 관계자는 "정치 이슈에 깊이 관여하지 않고 꾸준히 정책 행보를 이어온 것이 주효했다"며 "특히 수도권 주민 전체를 포용하는 대중교통 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고 말했다.

오 시장과 같은 국민의힘 소속 한 관계자는 "시기적·정책적 필요가 있었겠지만 서울용 무제한 패스보다 경기도 동행버스 확대를 우선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면서 "경기도 32개 시·군의 동행버스 수요를 파악하고 경기도와 협력해 이들을 위한 출퇴근 버스를 마련하는 사업을 서울 무제한 패스와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