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출입 해상 물류 지원 대책’ 발표

이달 안에 임시선박 3척 북미·중동에

항차마다 중소·중견기업 전용 선복 제공

정부가 해상운임 상승으로 수출기업에 미칠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국적선사 HMM을 호출했다.

정부는 14일 제42차 경제관계 차관회의에서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수출입물류 영향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국적선사 HMM을 통해 임시선박을 긴급 투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최근 해상물류 운임이 계속 상승하고 있어 △향후 선복(화물을 싣는 선박 공간) 부족 가능성 등에 대비하고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 수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HMM은 코로나 대유행 당시 해상물류가 막히면서 운임이 치솟자 임시선박 투입 등을 통해 수출입 물류난을 완화하기도 했다.

◆1만3000TEU급 신조 컨테이너선 6척도 추가 공급 =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등이 해상운임 상승에 따른 수출입물류 영향을 점검한 결과 현재까지 수출품 선적 등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시아~유럽항로를 운항하는 선사들이 후티반군의 상선 공격 등으로 수에즈운하대신 남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면서 운송기한이 지연되고 해상운임이 상승하면서 수출기업들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0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발표한 케이-컨테이너운임종합지수(KCCI)는 일주일 전보다 8.01% 오른 4043을 기록했다. 4월 22일 이후 8주 연속 상승세다. 2022년 11월 7일 KCCI를 발표한 이후 지수가 4000선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상하이해운거래소가 7일 발표한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도 일주일 전보다 4.6% 상승한 3184.87을 기록했다. 4월 3일 이후 9주 연속 오름세다. KCCI는 부산항을 출발하는 13개 글로벌 컨테이너항로 운임을, SCFI는 상하이항을 출발하는 13개 글로벌항로 운임을 종합해 산출한다.

정부는 선복량을 추가 투입해 수출기업들이 선복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덜어주기로 했다. 우선 향후 선복 부족 가능성에 대비해 국적선사 HMM을 통해 물동량 수요가 높은 미국 서안, 미국 동안 지역과 중동지역에 이달 안에 3척의 임시선박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공급되는 선복량은 6m 길이 컨테이너 9000개를 실을 수 있는 9000TEU 규모다. 해수부는 홍해사태가 끝날 때까지 임시선박을 투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반기에는 HMM이 발주한 1만3000TEU급 선박 6척이 나오는 등 국적선 추가 공급이 예정돼 있다. HMM이 2021년 6월 발주한 1만3000TEU급 선박 12척은 올해 1월부터 지금까지 6척 인도돼 북미항로에 투입됐다. 이달 중 한 척이 추가 투입되고, 하반기에 남은 6척이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이들 선박은 모두 북미항로에 투입될 예정인데, 이 중 5척은 북미서안항로에 투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동남아항로에도 18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국적선사와 협력을 통해 추가 공급하는 선박에 항차당 1685TEU 규모로 중소·중견기업 화물을 싣는 공간을 배정하기로 했다. 중소·중견 수출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수출선박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출바우처 202억원 조기집행 = 정부는 또 수출기업의 운임비 부담을 덜어주는 등 유동성 지원에도 나선다.

우선 물류비 지원이 가능한 ‘수출 바우처’ 하반기 지원분 202억원을 조기집행하고, 운임비 상승 추이를 고려해 필요한 때 추가 물류비 지원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대금결제 지연 등에 대비해 수출신용보증 보증한도 우대(1.5배), 보험금 신속 지급 등의 지원대상과 시행시기도 확대한다. 부산항 신항 인근 부지에 시중보다 낮은 요금으로 700TEU 규모의 컨테이너 공용장치장도 추가하기로 했다.

정부는 해운시장 동향을 계속 관측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해수부 차관을 반장으로 한 수출입물류 비상대응반도 계속 운영한다,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을 반장으로 한 수출비상대책반을 중심으로 수출기업의 어려움도 발굴·해소하기로 했다. 코트라와 무역협회 안에 정보제공·애로접수 창구를 운영한다.

정부는 최근 해상운임 상승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관계부처 및 기업들과 협업으로 이번 대책을 신속하고 차질없이 이행해 수출 호조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