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수산업 토론

수과원·KMI·한수연

동해안 수산업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도 정책변화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5일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에 따르면 23일 강릉에서 열린 ‘동해안 수산업 미래 대응 전략 심포지엄’에 참여한 토론자들은 오징어잡이를 하는 오징어채낚기 어업인 등의 업종전환, 감척 등 폐업보상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해안에 적합한 양식품종과 어장개발에 대한 요구도 컸다.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23일 강릉에서 ‘동해안 수산업 미래 대응 전략 심포지엄’을 열고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사진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오징어 어획량의 급속한 감소 등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안 수산자원감소와 어종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수과원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수연)와 함께 개최한 심포지엄에는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수협중앙회 어업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한재우 한수연 강원도 회장은 “동해안 수산자원수준에 맞게 어선감척을 신속히 추진하고 감척을 위한 폐업지원금 현실화, 동해안 특성에 맞는 양식품종과 어장개발로 연근해어업을 대체할 수 있는 정책전환이 시급하다”고 토론했다.

한수연에 따르면 지난해 오징어 어획부진에 따라 정부와 국민의힘 등이 정책협의회를 열고 오징어 생산어가인 근해채낚기·동해구중형트롤 및 연안복합 어업인에게 어가당 2000만~3000만원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했지만 ‘발등의 불’을 끄기에 부족하고 수협 등 금융기관 연쇄 부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는 “오징어 생산 어가는 지속되는 어획량 부진, 유류비 및 인건비 등 고정비 지출로 인해 조업 여부와 관계없이 매월 수천만원 적자가 발생해 연체율은 일반자금은 5%, 정책자금은 1%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어업인들은 변화하는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릉시수협은 “오징어조업을 주로 하는 채낚기 어선들은 오징어 조업을 포기하고 어획량이 다소 풍부한 복어를 대체어종으로 어획하고 있다”며 “하지만 단기간에 생산량이 많아져 가격이 하락하고 복어는 독성이 강하다는 편견으로 판로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내 연안 바다의 기후변화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는 동해안 특성도 부각됐다. 수과원에 따르면 지난 1968년부터 2022년까지 55년간 전지구 평균 표층수온은 0.52℃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평균 표층수온은 약 1.36℃ 상승해서 약 2.6배 더 높은 수온상승을 보이고 있고, 특히 동해는 1.82℃로 서해 1.19℃, 남해 1.09℃보다 더 높은 수온상승을 보이고 있다.

황선재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장은 “동해는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영향에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하는 해역 중 하나”라며 “최근 동해 해양환경 변화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변동의 폭이 크고 주기가 짧아 수온은 더욱 빠르고 가파른 추세로 상승하고 있으며, 연간 변동의 폭 또한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