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고 작은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었고 재발을 막기 위해 수많은 이들이 밤낮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행정안전부는 2년 전 이태원에서 발생한 참사 이후 전문가 관계부처 지자체 등과 협력해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모두의 일상이 안전한 대한민국’을 목표로 약 22개월 동안 관련 대책을 철저히 관리해왔다. 매달 장관과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주재하는 관계부처회의를 열어 추진 상황을 점검했고, 현장점검과 교육·훈련을 꾸준히 병행하면서 새로 마련된 안전대책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주최 불분명한 행사 안전관리 체계에 포함
가장 서둘러 개선한 내용으로는 안전관리 사각지대였던 주최자가 없거나 불분명한 행사를 안전관리 체계에 포함한 일이다. 지난해 12월부터 주최자가 없는 축제에 대해 지자체에 안전관리 의무를 부여했고, 올 9월에는 지역 축제장의 안전관리 매뉴얼을 개정·배포했다. 올 1월 ‘다중운집인파사고’를 사회재난 유형으로 포함해 안전관리의 근거를 마련했고, 7월에는 다양한 유형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재난관리 주관기관을 지정해 대비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ICT 등 과학기술을 활용해 위험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체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파밀집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이 지난해 12월에 구축됐다. 이보다 두달 앞서 경찰과 소방이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긴급신고 공동대응시스템도 마련하면서 긴박한 재난현장에서 유관기관이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지자체의 저화질 CCTV 6106대를 전면 교체하고 공원과 산책로 등 관제 사각지대에 CCTV 2416대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재난안전통신망 활용을 강화하기 위해 관계기관 간 교육과 훈련도 올 10월까지 146회 실시, 이를 통해 긴급상황 시 신속한 대응이 이뤄지도록 대비하고 있다.
인파 안전관리 외에도 일상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안전관리 정책을 새롭게 시행했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대상별 맞춤 대책을 추진하면서 안전한 환경 조성에 기여했다.
모두가 안전한 일상 누리는 사회 만들기
이 같은 꾸준한 이행관리 노력 덕분에 현장에서 작동하는 대책들이 점점 늘고 있음을 실감한다. 지난 7월 28일 밤 서울 성수동에서 열린 음악 페스티벌 ‘보일러룸’ 공연 도중 순식간에 인파가 몰리면서 큰 사고로 이어질 뻔했지만, 경찰과 소방의 신속한 공동대응 덕분에 행사를 안전하게 중지할 수 있었다. 또한 경기도 평택에서는 지난 7월 한 초등학교 교장이 출근 중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받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위험할 것으로 판단, 신속히 등교시간을 조정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한 사례도 있었다.
핼러윈을 맞아 이번 주말부터 많은 인파가 도심 곳곳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지금까지 마련한 모든 제도와 시스템, 그리고 현장 안전관리 경험을 총동원해 ‘핼러윈 특별대책기간(10.25~11.1)’에 대응할 계획이다.
인파 안전관리를 위한 노력은 계속되겠지만 여전히 예측못한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면서 모두가 안전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국민 모두의 응원과 따끔한 충고가 감사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