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토론이 승패를 가른다. 대선 막바지에서 여야 후보들은 TV토론에 사활을 걸고 있다. 51대 49의 초박빙 구도에서 치러지는 이번 대선에서, 2~5%의 지지율 변동에 영향을 주는 TV토론은 무시할 수 없는 파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1960년 미국 대선에서 무명에 가까운 신인 존 F 케네디 상원의원이 화려한 웅변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을 물리친 무기가 TV토론이었다는 사실은 이제 전설이 되었다.

지난 6일 치러진 미 대선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것도 TV토론에서의 승리가 1등공신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투표 직전 오바마 대통령과 미트 롬니 후보의 지지율은 거의 동률이었다.

TV토론이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여러 논문을 통해서도 확인됐다. 토론을 통해 전달된 정치적 이슈와 개인적 이미지 모두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TV토론에서는 이슈보다 이미지가 더 중요하다. TV 매체의 특성으로 이미지 전달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미국 텍사스 주립대 맥스웰 맥콤스교수의 지적대로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로 전이돼 유권자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1997년 선거법에 명문화하여 공식적으로 TV토론이 도입됐다. 선관위가 주관하는 공식 토론회는 3회 열린다. 언론기관 초청 토론회는 횟수에 제한없이 개최할 수 있다. 첫해에는 모두 54차례나 열렸다.

16대(2002년) 때는 27회, 17대(2007년)에는 11차례 개최됐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는 TV토론이 자취를 감췄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 토론과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단독 토론'이 열렸을 뿐이다. 후보의 시각과 정책, 비전을 비교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적합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져버린 셈이다.

박·문 양 후보 '맞장토론' 불가능할듯

어쩌면 TV토론의 하이라이트인 박 후보와 문 후보의 '맞짱토론'은 기대하기 어려워질 지도 모르겠다. 방송사들의 양자토론 제의에 박 후보가 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식토론은 두 후보 외에도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가 참여하기 때문에 삼자토론이 된다.

문 후보 측은 양자토론에 적극적이지만, 박 후보 측은 "일정이 빡빡하다"는 이유로 미루고 있다.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기 전 "TV토론만 하면 반드시 승리한다"던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의 자신감이 무색하다. 아마도 박 후보가 TV토론에 미온적인 이유는 '단독토론' 이후 불거진 논란 때문일지도 모른다.

박 후보의 이른바 '국민 면접' 직후 사전대본(큐시트)이 유출돼 "짜여진 각본에 따라 진행된 예능프로그램"이라는 비아냥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뜨겁게 달궜다. TV프로그램 '낭독의 발견'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회자의 편파진행, 국민패널의 질문 봉쇄 등 각종 의혹도 불거졌다. 박 후보의 정치입문 시기와 동기에 대한 말 실수와 자신에 불리한 사진보도에 대한 "악랄하다"는 발언도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단일화 토론'이 "밋밋하다"는 반응과는 대조적이다. 박캠프에서는 TV토론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오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을 것이다.

많은 국민은 내달 4일, 10일, 16일 열리는 세 차례의 공식토론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토론에서는 박 후보가 문 후보와 이 후보의 협공에 시달릴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예상이다. 그러나 이 후보의 통합진보당은 이른바 '종북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기 때문에 이해득실을 따지기는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딱딱한 진행방식 변화시켜야

두 후보의 단점도 거론된다. 박 후보는 톤의 변화가 없고 은유가 적은 말투 때문에 지루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과거사와 역사인식 등 불리한 질문에 대한 답변도 변수다. 문 후보는 딱딱한 어법과 불안한 발음 등을 극복하는 것이 과제다. '참여정부 실패론'에 대한 대응도 지켜볼 만하다.

딱딱한 TV토론 진행방식은 어떻게든 변화시켜야 할 과제이다. 모두 발언과 마무리 발언, 반박 1분, 재반박 2분으로 이뤄지는 상호토론 등 기계적인 시간제한은 후보들의 진면목을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유권자들의 흥미를 끌기도 어렵다. 후보들의 발언에 대한 진실검증은 필요조건이다. 미국처럼 후보발언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팩트 첵커'는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

김주언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