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은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따르면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시초다. 1926년은 한글이 반포된 지 480년이 되던 해로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서 위축되던 때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해 한글날을 제정했다. 음력 9월 마지막 날인 29일을 한글날로 정한 것은 '세종실록' 28년(1446) 9월조의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라고 한 기록을 근거로 했다. 이름을 가갸날로 한 것은 그때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 오던 훈민정음을 1910년대에 주시경 선생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서 쓰게 된 것이다.

가갸날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꾼 해는 1928년이다. 1931년에는 그동안 음력으로 기념해오던 한글날을 양력으로 고치기로 하고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해 10월 28일로 정한 후 기념식을 가졌다. 그러던 중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됐다. 서문에 "정통 11년 9월 상한"에 정인지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어 훈민정음, 곧 한글을 반포한 날이 좀더 확실하게 밝혀졌다.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한 것은 1945년 우리나라가 광복한 후 였다. 곧 '정통 11년 9월 상한'의 '9월 상한'을 9월 상순의 끝날인 음력 9월 10일로 잡고 그것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로 정한 것이다.

1946년에는 한글날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해 거국적인 기념 행사를 했다.

1970년 대통령령으로 공포된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규정'에서 관공서의 공식 공휴일이 됐다. 한글날은 한동안 법정공휴일의 지위를 잃는 불운을 겪기도 하였다. 1990년에 휴일이 많은 것은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경제 단체의 문제 제기가 있어 법정공휴일 축소 문제가 논의됐다. 그해 8월에 국무회의에서 한글날을 국군의 날과 더불어 법정공휴일에서 제외하기로 의결, 한글날은 단순한 기념일이 됐다. 그러나 한글 관련 단체의 꾸준한 한글날 국경일 제정 운동의 결과로 2005년 12월 29일 국회에서 '국경일에관한법률'을 개정해 2006년부터 한글날이 국경일로 정해졌다.

한글날 기념 행사는 광복 이전부터 한글학회가 주관해오다가 1957년부터 한글학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이후 1981년에는 서울시, 1982년부터는 문화공보부(현재의 문화관광부)에서 맡아 주관한다.

[관련기사]
문맹률 '0%'에 문해능력 부족자 200만명
[성인문해교육 현장에서 만난 어르신들] "글 배우기 전엔 눈 뜨고도 감은 듯 살았죠"
문해력 위기, 국민 독서율 증가가 해결책
"문해교육은 인간성의 회복 작업"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장세풍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