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하위 10%이하>

취약계층 ‘돈맥경화’ 갈수록 심화

저축은행 신규 대출자 20만명 줄어

금융당국, 지원방안 마련 TF 발족

지난해 개인신용평점 하위 10% 이하(724점 이하)인 저신용자의 신규 신용대출 규모가 4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5조590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9조4300억원으로 6조1595억원(39.4%) 감소했다. 서민금융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지는 대부업체의 신규 신용대출 규모는 1조417억원으로 지난해 1조원을 간신히 넘겼다. 2022년 3조4208억원에서 70%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고금리와 고물가로 서민들의 자금 수요는 더 늘어나고 있지만 취약계층의 ‘돈맥경화’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28일 서민금융연구원이 NICE평가정보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업권별 신규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는 취약계층을 상대로 한 금융권의 대출 감소 추세가 드러나 있다. 2금융권 신규 대출자는 지난해 522만9000명으로 전년(589만명) 대비 66만1000명(11.2%) 줄었다. 대출 규모는 69조4500억원으로 전년(83조608억원) 대비 13조6108억원(16.3%) 감소했다.

◆신용 하위 10% 이하 신규 차주 21만명 감소 = 금융권 전체의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지난해 751만명으로 전년(801만5000명) 대비 50만5000명(6.4%) 줄었다. 은행을 제외한 모든 업권에서 신규 신용대출 차주가 감소했다. 대부업이 11만9000명에서 5만4000명으로 줄면서 가장 큰 폭(55.4%)의 하락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은 71만6000명으로 전년(91만2000명) 대비 19만6000명(21.5%) 감소했다. 하락폭은 대부업이 가장 크지만 차주수로 보면 저축은행이 가장 많이 줄었다.

반면 은행의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228만1000명으로 전년(212만5000명) 대비 15만6000명(7.3%) 증가했다.

신용평점별 대출 현황을 보면 하위 50%(879점 이하)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지난해 536만명으로 전년(602만명) 대비 4만6000명(11.0%) 감소했다. 하위 10% 이하(724점 이하)의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85만9000명으로 전년(107만2000명) 대비 21만3000명(19.9%) 줄었다.

금융권 전체 차주수가 지난해 50만5000명 줄었는데 하위 10% 이하 저신용자 비중이 42.1%에 달하는 셈이다.

반면 신용평점 상위 50%(880점) 이상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215만명으로 전년(199만5000명) 대비 15만5000명(7.7%) 증가했다. 상위 10%(965점) 이상 신규 신용대출 차주수는 31만8000명으로 전년(27만2000명) 대비 4만6000명(16.9%) 증가했다. 안용섭 서민금융연구원장은 “연체율 상승 등으로 저신용자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있어서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다만 고금리 시대에 무조건 대출을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은 서민금융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원방안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당국 “서민금융 정책 전반 다시 점검” = 금융위원회는 ‘서민, 자영업자 지원방안 마련 TF’를 구성하고 28일 1차 회의를 개최했다. TF 회의를 주재한 이형주 금융위 상임위원은 “가계 소득 부진 등 거시적 불확실성과 함께 온라인 쇼핑 증가 등 구조적 변화에 따라 취약층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영업자 등에 대한 두터운 보호가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민·자영업자의 상환능력을 제고하고 서민금융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정책 전반을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F는 자영업자, 서민의 경제 여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분야를 구체적으로 선별하고, 3가지 방향으로 서민·자영업자 지원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먼저 서민금융 공급과 함께 고용지원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근본적인 경제적 자립 및 상환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사업단계별 자영업자 지원, 취약층 대상 선제적 지원 등 채무자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채무조정이 추진된다. 이와함께 자영업자, 청년 등 차주별 맞춤형 금융지원과 정책서민금융의 안정적 재원 확보 등 금융지원 강화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최근의 서민·자영업자의 어려움은 소득·매출 부진 등 다각적인 요인에 기인한 만큼, 금융 유관기관 뿐만 아니라 기획재정부, 중소기업벤처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개선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