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김대남 배후 누군가” … 윤 대통령, 한 대표 빼고 만찬

①한 대표 축출 ②윤 대통령 “도와 달라” ③지지율 동반추락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갈등이 좀처럼 해법을 찾지 못한 채 확대되고 있다.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모습이다.

여권에서는 갈등의 결말을 대략 세 가지로 본다. ①한 대표가 대통령실과 친윤의 압력에 밀려 중도사퇴하거나 ②위기에 몰린 윤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③끝까지 갈등을 멈추지 않다가 지지율이 동반 추락하면서 공멸하는 시나리오가 꼽힌다.

윤석열 대통령, 한동훈 대표와 악수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을 마치고 퇴장하며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2일 대통령실과 친한(한동훈)은 또 정면충돌했다. 친한 김종혁 최고위원은 1일 SNS를 통해 “한동훈에 대한 공작을 지시한 김대남의 배후가 있는가. 김대남을 스스로 선택한 자리로 보내줄 정도의 막강한 힘이 개입한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인 김대남 SGI 서울보증 상근감사는 지난 7월 유튜브 ‘서울의 소리’와의 통화에서 “김 여사가 한 후보 때문에 죽으려고 한다. 잘 기획해 (한 대표를) 치면 아주 김 여사가 ‘들었다 놨다 했다’고 좋아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한은 김 감사의 ‘한동훈 공격 요청’에 ‘막강한 힘을 가진 배후’가 있다고 의심하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2일 한 대표를 제외하고 추경호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만 불러 만찬을 한다. 거듭 독대 요청을 한 한 대표는 만나주지 않으면서 만남을 요청도 하지 않은 원내지도부는 부른 것이다. 친한 인사는 “원내지도부 만찬은 1주일 전에 통보됐다는데, 한 대표의 1주일 전 독대 요청에는 아무런 답이 없다”고 전했다.

윤-한 양측에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표정이 읽힌다. 더 이상 검찰 시절 끈끈한 관계로 돌아가기는 불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이제는 윤-한 갈등의 종착점을 주목하는 분위기다.

종착점의 첫 번째 시나리오로는 한 대표의 중도사퇴가 회자된다. 최근 여권에서는 “한 대표가 취임 100일을 넘기지 못하고 사퇴할 것”이란 소문이 나돌고 있다. 친윤이 △10.16 재보궐선거 패배 책임론 △쌍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법·채 상병 특검법) 재투표 통과 책임론 등을 강하게 제기하면서 한 대표가 밀려난다는 것이다. 사실상 ‘축출’인 셈이다. 친한 핵심의원은 1일 “(친윤이 한 대표를) 당에서 쫓아내려는 생각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친윤은 한 대표를 쫓아낸 뒤 여당을 다시 ‘윤석열당’으로 재정립하려는 구상으로 읽힌다.

다만 한 대표가 순순히 물러설 가능성은 매우 낮다. 친한에서는 “우리가 잘못한 게 없는데 왜 그만두냐”고 항변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위기가 가중된 윤 대통령이 먼저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 내용이다. 국정지지도가 바닥을 친 윤 대통령이 10월 국정감사에서 치명타를 맞고 회복 불능 상황에 몰리면, 한 대표에게 도움을 요청할 것이란 얘기다.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온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10월 국감 지나고 나면 윤 대통령과 김 여사가 더 코너로 몰릴 가능성이 높다. 국감에서 민주당이 폭로할 것도 있고, 행정부가 2년 3개월 동안 일을 잘했냐 못했냐 지적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오히려 윤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손 내밀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위기를 몰린다고 해도 한 대표에게 도움을 청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더 우세하다. 한 대표에 대한 신뢰는 이미 바닥을 드러냈다는 것이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공멸’ 위기에 처한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10월 국감 이후까지 화해하지 않고 사사건건 충돌하다가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도와 국민의힘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면서 자멸 수순을 밟는다는 우려다. 여권 일각에서는 “검사 시절 보수정치권을 위기로 몰아넣었던 여권 투톱(윤 대통령과 한 대표)이 이제는 보수정치권을 완전히 무너뜨리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품는다.

다만 보수정치권의 자정능력에 대한 기대도 여전하다. 지금껏 윤-한 갈등을 방관하던 여당 의원들이 10월 국감 이후에는 입장을 정리하고 출구를 찾아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엄경용 기자 기사 더보기